디지털 변혁의 시대, 전통적인 산업에서도 디지털 이노베이션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 중 입니다.
자동차 산업은 이미 Digital Giant* 들의 직접적인 영향력 아래 속해 있으며, 가장 먼저 전통적인 BM과 디지털의 충돌이 일어나는 산업이 될 전망입니다.
글로벌 최대 화장품 업체인 L’Oreal은 대형 화장품 업체 중에서 가장 디지털 친화적인 업체로, 젊은 세대들에 맞는새로운 브랜드 이미지를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SK 그룹은 IoT, Data, AI 등 ICT 핵심 기술을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디지털 혁신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6월 All Things Data Conference 2017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가치를 공유하였습니다.
T magazine 10호에서는 디지털 변혁의 시대, 혁신하는 회사들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Digital Giant* : 보스턴대 교수 Venkat Venkatraman은 글로벌 경제를 지배하며 모든 산업에 전방위적 영향력을 갖는 디지털 거대 기업으로 Apple, Google, MS, FB, Amazon, Netflix, Tesla의 ‘Digital Seven’을 선정
Tesla의 시가 총액이 Ford와 GM을 추월하면서 Tesla는 미국 자동차 회사 中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회사에 등극한다. 판매 볼륨이 Ford/GM의 1% 대에 불과한 Tesla가 시장에서 인정 받는 ‘높은 미래 가치’는 자동차 산업이 대변혁기에 진입했음을 시사함에 틀림없다.
지난 5월, 114년 역사의 가족기업인 Ford는 파격적으로 非Ford/非자동차 계열인 Jim Hackett을 신규 CEO로 임명하면서 주요 경영진 교체를 단행한다. CEO 교체의 일차적 이유는 주가 부진으로, 前 CEO Mark Fields의 재임 중 주가는 36% 하락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회장인 Bill Ford가 밝힌 대로 최근의 Ford는 비전을 잃어 가고 있으며, 미래의 자동차 경쟁에서 뒤쳐진다는 인식 때문이다.
2000년대 중반 Ford의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도입된 전략으로, 브랜드/지역 별로 나누어진 라인업을 통일하고 전세계 생산 설비/부품을 규격화
Ford는 전통적 자동차 판매와 관련되지 않은 신사업을 통칭하여 Mobility라는 용어를 사용
Ford 는 차량에서 생성되는 시간당 25G의 Data 뿐 아니라, Mobility와 관련된 니즈와 Insight를 얻기 위해 다양한 Data를 수집하고 있다. ‘16년 Ford는 Bike Sharing 서비스를 런칭하면서 서비스 목적은 사업적인 것이 아니라, 복잡한 도시에서 고객이 가고 싶어 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Data 확보라고 발표하였다.
조직 개편 시 CDAO(Chief Data and Analytics Officer)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했으며, CDAO는 Ford의 Big Data 및 Analytics 역량을 다음 단계로 향상시키는 미션을 가지고 있다. Ford는 전사에 흩어진 Data 역량을 통합하고 Data에 기반한 의사 결정을 확산시키기 위해 ‘Global Data Insights and Analytics’ 조직을 ‘15년 신설했으며, 600명 이상이 근무하고 있다.
전형적인 자동차 산업은 시장 규모는 크나 마진률은 낮으며, 경기 의존성이 높은 Cyclical Industry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Ford의 목표는 Data Analytics 및 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기존 자동차 제조업의 BM을 방어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形 BM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Ford의 전통적인 BM은 8% 대의 영업이익률을 목표로 하나, 신규 Mobility에서는 20% 기대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2010년, CEO인 Jean-Paul Argon의 ‘Digital Year’ 선포 이후, 소비재 산업의 대표적 Digital Transformation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1909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L’Oreal은 산하에 34개 브랜드를 보유하고 ‘16년 기준 $29Billion의 매출과 $5.2Billion의 영업 이익을 기록한 글로벌 최대 화장품 업체이다.
화장품 산업은 L’Oreal, Estee Lauder 등 수십 년 역사를 가진 업체들이 계속해서 시장 지배력을 행사해 왔으나, 최근에는 IT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신생 브랜드들이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한 ‘셀럽’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마케팅 비용으로 고객에게 접근할 수 있는 신규 채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반면 대형 화장품 회사들은 기존 브랜드들의 로열티를 유지하기 위해서 매년 막대한 마케팅 예산 지출을 부담하고 있는 상황이다. L’Oreal의 Digital Transformation은 CEO인 Jean-Paul Argon의 강력한 의지로 추진중이다.
L’Oreal은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업종 특성 상 광고 홍보비 지출(매출의 30% 수준)이 크며, 광고/마케팅은 L’Oreal에게 있어 Digital Transformation의 최우선 영역이다. ‘10년 전체 광고 예산의 5% 수준이었던 디지털 광고 비중을 ‘11년에 두배로 늘렸으며, ‘16년에는 30%까지 상승하였다. 그 결과 ‘16년 디지털 관련 시장 조사 업체인 L2의 브랜드별 디지털 친화도(Digital IQ) 평가에서 Top10에 L’Oreal 산하 5개 브랜드가 선정 된다
업체명 | 개요 |
---|---|
InsitU | 개인화된 스킨케어 상품 제공 |
Preemadonna | 고객 스스로 자신만의 네일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서비스 |
Taillify | 브랜드와 인터넷 상의 Influencer를 연결시켜 주는 플랫폼 |
Veleza | Beauty 관련 Community 서비스 |
Cosmose | 위치 기반으로 오프라인 고객을 타겟팅할 수 있는 플랫폼 |
Le Teint Particulier 서비스 사진 Preemadonna의 셀프-디자인 네일 사진
2017년 6월 SK텔레콤의 ALL Things Data Conference 2017가 많은 분들의 참여 속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다양한 산업에서의 디지털 혁신 경험과 SK 그룹 내부의 디지털 혁신 사례를 컨퍼런스의 발표 내용 중심으로 들여다 보겠습니다.
새로운 IoT 통신 기술과 현황을 살펴보고, IoT
전용망 등장으로 인해 촉발되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Digital Transformation 활용사례 및
기대 효과를 공유합니다. 또한, Global Top 수준의
IoT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당사의 차별화된
IoT기술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왓슨, 시리, 알파고, 자율주행차, AI 로봇 등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과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IoT, 5G 기반
초연결 데이터 시대에 글로벌 가치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인공지능 Digital Innovation
전략을 제시합니다.